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세권 설정 비용, 얼마나 들까?

by 밥티풀머니 2025. 5. 22.
반응형

전세권 설정 비용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계신가요? 법무사 수수료부터 등기세, 부대비용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1. 전세권 설정 비용이란?

전세권 설정 시 드는 비용은 단순히 등기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아래와 같이 다양한 항목이 포함됩니다:

  • 등록면허세: 보증금의 0.2%
  • 교육세: 등록면허세의 20%
  • 지방교육세: 교육세의 10%
  • 등기촉탁 수수료: 법무사 등 전문인력 수수료
  • 인지세 및 부대비용: 소액이지만 필수 지출

예시로 1억 원의 전세보증금에 대해 전세권을 설정한다고 가정할 경우, 총 30만 원 내외의 세금과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2. 항목별 상세 분석

항목 계산 기준 금액 (1억 기준)
등록면허세 보증금의 0.2% 200,000원
교육세 등록면허세의 20% 40,000원
지방교육세 교육세의 10% 4,000원
법무사 수수료 지역·난이도에 따라 상이 10~30만 원
기타 (인지세 등) 고정비용 5,000~10,000원

💡 팁: 등기소에 직접 신청하면 법무사 수수료를 아낄 수 있지만, 서류 준비나 법적 오류에 주의해야 합니다.

3. 셀프 등기와 법무사 의뢰, 뭐가 좋을까?

  • 셀프 등기 장점: 비용 절감 (최소 10만 원 이상), 절차 이해 가능
  • 단점: 서류 오류 시 거절 가능성, 시간 소요
  • 법무사 의뢰 장점: 정확하고 빠른 처리, 법적 분쟁 예방
  • 단점: 수수료 추가 발생

4. 전세권 설정, 꼭 해야 하나요?

확정일자만으로도 보호를 받을 수 있지만, 전세권 설정은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전세사기나 임대인의 채무 문제를 대비하고 싶다면, 비용이 들더라도 안전한 선택입니다.

5. 마무리 요약

  • 전세권 설정 비용은 보증금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 세금+법무사 수수료 포함 약 30만 원 전후 예상
  • 직접 등기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나, 실수가 생길 수 있음
  • 전세권 설정은 임차인 권리 보호에 매우 효과적

전세보증금이 크다면, 비용을 들여서라도 전세권 설정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투자입니다.

 

반응형